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프리랜서가 꼭 알아야 할 원천징수 영수증 보는 법

by All new 자동차 2025. 4. 18.
반응형

 

프리랜서로 일하면 수입에서 3.3%의 세금이 원천징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하지만 연말이나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이 되면 “내가 정확히 얼마나 벌었지?” “세금은 얼마나 냈지?” 하는 궁금증이 생기죠. 이럴 때 필요한 게 바로 ‘원천징수 영수증’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원천징수 영수증 보는 법신고에 활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.

 

 

원천징수란?

원천징수란 소득을 지급하는 사람이 미리 세금을 떼어 국세청에 대신 납부하는 제도입니다. 프리랜서의 경우, 외주 작업 대금을 받을 때 총금액의 3.3%가 세금으로 원천징수되고, 나머지 96.7%만 입금되는 구조입니다.

이 3.3%는 소득세(3%) + 지방소득세(0.3%)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원천징수 영수증이란?

원천징수 영수증은 클라이언트가 연말에 발급해주는 세금 납부 확인서입니다. 해당 연도 동안 당신에게 얼마를 지급했고, 그 중 얼마를 세금으로 떼었는지를 나타냅니다.

정식 명칭은 ‘소득자별 원천징수부’ 또는 ‘지급명세서’이며, 2월 말까지 홈택스에 제출되므로 3월부터 홈택스에서 직접 열람 가능합니다.

원천징수 영수증 보는 법

홈택스에서 조회하는 방법:

  1. 홈택스 접속 → 로그인
  2. 마이홈택스 → 지급명세서 등 제출내역 조회
  3. ‘사업소득’ 또는 ‘기타소득’ 클릭
  4. 거래처별로 지급총액 및 원천징수액 확인 가능

영수증 주요 항목 설명:

  • 지급총액: 실제 수입(세전 기준)
  • 원천징수세액: 3.3% 세금
  • 실지급액: 실수령 금액 (지급총액 - 원천징수세액)
  • 지급자 정보: 거래처 또는 클라이언트

종합소득세 신고 시 활용 방법

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, 원천징수 영수증은 기납부세액 입력 항목에 필수로 사용됩니다.

다음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를 넣어야 합니다:

  • 지급총액: 수입금액으로 입력
  • 원천징수세액: 이미 납부한 세금으로 입력 → 세액 정산 시 감안됨

TIP: 홈택스 ‘모두채움 신고서’ 기능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불러올 수 있어 편리합니다.

주의할 점 & 팁

  • 1. 거래처가 원천징수 누락했을 수 있음 → 홈택스 조회 시 누락된 내역이 있다면 거래처에 요청
  • 2. 지급명세서는 수정될 수 있음 → 3월 중순~4월까지는 수정 반영 확인 필수
  • 3. 직접 발급 요청도 가능 → 거래처에 ‘소득자별 원천징수영수증’ 발급 요청
  • 4. 누락된 수입은 본인이 직접 신고해야 함 → 홈택스에 안 떠도 실제 수입이라면 반드시 포함

요약: 프리랜서의 3.3% 세금은 원천징수 방식으로 먼저 납부되며, 연말에 발급되는 원천징수 영수증을 통해 정확한 수입과 납부 세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에는 꼭 홈택스에서 원천징수 내역을 확인하고 누락 없이 반영하세요!

반응형